본문 바로가기

문화

[르네상스 정원] 1. 이탈리아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 정원

 

 

 

 

 

이탈리아 르네상스

상업활동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선비가 많아진 것처럼 이 시기 이탈리아도 마찬가지로

도시민의 부가 쌓여 봉건제도가 몰락해 도시 국가에서 시민사회가 만들어진다. 

 

전원생활을 흠모하는 인문주의적 사고와 현실세계의 즐거움 추구한다.

 

 르네상스의 영향은 성곽 중심의 정원에서 별장정원으로의 전환되는 시기이며

르네상스의 정원은 별장정원에서 비롯된다.

 

 

 

르네상스 16세기, 에스떼장, 리고리오 설계, valle(계곡에 위치), 카지노는 최상단에 위치, 병렬식 구조

따라서 중세시대의 봉건제도와 종교억압에서 벗어나고자,

빌라와 정원의 입지는 조금 완만한 경사지에 위치하여 자연을 조망하고 즐기며

옥외 미술관적 성격을 보인다.

 

하지만 실용성의 영향으로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양식이 널리 전파되거나 응용되기는 힘들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작성 "비투르비안 맨(vitruvian man)"

또한 르네상스 시기의 이탈리아 정원은

기하학적 형태와 크기의 비례를 근간으로 하는 비트루비우스 원리를 기초해 빌라와 정원,

주변경관의 단일 건축적 구도에 의해 계획하였다.

 

비규칙적인 지형구조 상태에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표현하여

소우주를 만들어내는 것이 이상적이라 여겼다.

이때부터 조경가의 이름이 등장하고 의뢰인인 시민자본가 등장한다.

 



 

 

 

 

정원의 특징
1) 공간의 구성 및 배치
① 지형과 기후적 여건으로 구릉과 경사지에 빌라가 발달하고,노단이 중요한 경관요소로 등장
② 빌라를 중심으로 전정과 후정, 정원경계 외에는 자연경관,또는 과수 원,수림 대 등으로 구성
③ 빌라 건물의 중앙을 통과하는 건물의 주축이 정원의 비례나 대칭적 공간분할의 기본적 인 형태로 작용
④ 건물공간은 빌라가 위치하는 장소로 전체공간의 중심
⑤ 정원공간은 화단과 가로수길,수공간,점경물 등의 정원요소가 위치 하는 장소로 빌라의 부속기능 담당
⑥ 평화로움을 주는 고전적 비례를 엄격하게 준수하고 원근법을 도입하 였으며,직관적 이기 보다는 수학적 계산에 의해 구성
⑦ 중심축선상에서의 노단처리는 물을 주요소로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 이 일반적
⑧ 흰 대리석과 암록색의 상록수가 강한 대조를 이루는 대비효과 이용


I 르네상스의 발생
기독교와 봉건제도에 반발하 여 강력한 시민사회가 형성되 고 고대의 그리스•로마 문화를 이상으로 하여 이들을 부훙시 킴으로써 새 문화를 창출해 내 려는 운동으로,그 범위는 사 상•문학•미술•건축 등 다방면 에 걸친 것이었다. 중세의 시기를 야만시대,인간성이 말살 된 시대로 파악하고 이를 극복 하려는 인본주의가 발달하고, 자연을 존중하는 사조가 발달 하였다.

I 르네상스의 발생 시기
① 15C : 중서부 토스카나 지방
② 16C : 로마 근교
③ 17C : 북부의 제노바

I 양식의 변천
고전주의 一 매너리즘一 바로 크 一>•로코코

I 노단식(露壇式) 정원
이탈리아 정원의 가장 큰 특징 은 노단(테라스)이 중요한 경 관요소로 등장하는 것이다. 특 히 중심축선 상에서의 노단처 리는 매우 중요한 과제였는데 물을 이용한 다양한 처리방식 으로 해결하였으며,또한 노단 은 실용적인 것보다는 장식적 인 요소가 더 강조된 형식으로 평가된다.



2) 평면적 특징
① 정형성(Formale)
• 단일중심축형 : 건물의 중앙을 통과하는 주축으로 공간분할 - 풋지 어아카이아노장,벨베데 레원,파르네제장, 란테장,알도브란디니장
• 직교축형 : 빌라를 중심으로 한 종축과 횡축에 의한 비례를 갖는 공 간분할 형태-피에졸레장,마다마장,에스테장
② 비정형 성 (Informale)
•  중세에 조영된 건물을 빌라로 리모델링한 경우가 많음
•  일트레비오장, 카레지장,임페리알레장

3) 입면적 특징
① 상단형 : 카지노가 노단의 최상단에 위치,원경 조망-에스테장
② 중간형 : 카지노가 정원의 중간에 위치-알도브란디니장
③ 하단형 : 노단의 최하단에 카지노 배치-랑테장,카스텔로장


4) 건조물 및 점경물
① 카지노(Casino) : 거주•휴식 •오락기능의 장소,미술품 등 전람
② 템피 에토(Tempietto) • 카펠라(Cappella) : 예배를 보던 장소
③ 닌페오(Ninfeo) : 닌파(Ninfa)라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장소
④ 그로타(Grotta, 동굴) : 신성한 종교적 장소 역할
⑤ 코르틸레(Cortile, 중정) : 건물에 부속된 중정 - 야외공연장 이용
⑥ 스칼리나타(Scalinata, 계단) : 직선,반원형,타원형,부채꼴형 등
⑦ 테라자(Terrazza,노단) : 계단상의 평탄지를 옹벽으로 받친 부분
⑧ 발라우스타(Balausta,난간) : 경관의 액자 역할 - 조각상,화병
⑨ 니키아(Nicchia,벽김"),포르탈레(Portale, 정원문),바조(Vaso, 화분), 메리디아나(Meridiana,해시계),세디레(Sedile, 의자),벨베데레 (Belvedere, 전망대)


5) 수경요소
① 동적 수경요소 : 조코 다쿠아(Gioco d’acqua,조각 분천),폰타나 | (Fontana, 연못),라 폰타나 델라 무라(La Fontana della Mura, 분수 에 설치한 벽천),카스카타(Cascata,벽천),데아트로 다쿠아(Teatro d’acqua,물극장),분천,물풍금
② 정적 수경요소 : 페스키에라(Peschiera,양어장),칸날레(Canale, 수로)

6) 정원식물
① 식물의 개성적인 아름다움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향 발생 - 사이프러스나 스톤파인(stone pine)이 빈번하게 쓰임
② 녹음수로는 상록활엽의 월계수,가시나무,종려,감탕나무, 유럽적송 식재 - 단독 혹은 총림 (Bosquet)으로 식재
③ 배경식재를 위한 총림의 대표적 수종은 유럽적송(Pinus sylvestris)
④ 낙엽활엽수로는 플라타너스,포플러 사용
⑤ 토피어 리용으로는 회양목,월계수,감탕나무,주목 등을 사용
⑥ 화훼류에는 관심 이 적고 수목류에 비해 적게 사용한 것으로 추측


(3) 전기(15C)-토스카나(Tbscana) 지방
1) 특징
① 르네상스의 발상지 - 피렌체(Firenze)의 부호 메디치(Medici)의 영향 이 크게 작용
② 완만한 구릉과 계곡,충분한 물,좋은 자연경관
③ 고대 로마별장을 모방한 중세적 인 색채를 지님
④ 위치 선정,조닝(Zoning) 등 새로운 르네상스적 특징 발생
⑤ 알베르띠(Alberti)의 De Architectura - 이상적 정원의 꾸밈새 기술


2) 조경
① 카레지장(Villa Medici de Careggi)
•  중세성관과 유사한 방어형 설계-미켈로지 설계
•  언덕에 건물과 테라스를 이상적으로 균형되게 배치
•  전체의 가시경관이 ‘결합된 일부’ 가 되고 있는 작품
② 피에졸레장(Villa de Medici Fiesole 메디 치장)
•  알베르띠의 부지설계원칙 적용 - 미켈로지 설계
•  경사지에 노단식으로 구성,건축물과 정원의 축 불일치
③ 일 트레비오(Il Trebbio), 카파졸로장(Villa Cafaggiolo), 풋지 어아카이
아노장(Villa Poggio a caiano), 살비아티장(Villa Salviati), 팔미에리 장(Villa Palmieri),

⑷ 중기(16C-로마 근교
1) 특징
① 르네상스 예술문화의 최전성기로 이탈리아식 별장정원등장-찬란한 조경문화 개화
② 노단건축 수법으로 노단건축 정원의 등장 - 이탈리아 조경의 전기 마 련
③ 16C후반에는 토스카나 지방으로 확대되고 북쪽의 제노바에도 영향을 미쳐,세 지역에서 동시에 발달
④ 합리적 질서보다는 시각적 효과에 관심
⑤ 정원 작품은 주로 건축가 작품으로 축선에 따른 배치가 다수
• 라파엘로 : 마다마장 
• 페루치 : 페르네시아장
• 리피 : 메디치장
• 비놀라 : 기우리아장,파르네제장,랑테장
• 리고리오 : 에스테장

70페이지

2)조경
① 벨베데레원(Cortile del Belvedere, Belvedere Garden)
• 브라망테 설계 -16C초 대표적 정원
• 교황의 여름 거주지로 벨베데레 구릉의 작은 빌라를 연결
• 이탈리아 노단건축식 정원의 시작으로 기하학적 대칭과 축의 개념 을 처음 사용
• 이탈리아의 수목원적 정원을 건축적 구성으로 전환시킨 계기
• 테라스와 노단,계단,벽화가 그려진 정자,청동이나 대리석 분천,고대 조각상 등을 정원에 도입

② 마다마장(Villa Madama)
•  최초 라파엘로가 설계하였으나 사후 조수인 상갈로에 의해 완성
• 기하학적 곡선을 따라 광대한 정원을 건물 주위에 배치
• 3단의 노단,건물과 옥외공간을 하나의 유닛으로 설계 - 내부와 외 부공간을시각적으로 완전히 결합
• 가로수,토피아리,담,난간,미로,벽천 등이 정원요소로 도입
③ 임페리알레장(Villa Imperiale), 카스텔로장(Villa Castello)
④ 파르네제장(Villa Farnese)
• 비놀라 설계
• 2개의 테라스
• 계단에 캐스케이드(cascade) 형성
• 주변에 울타리 없이 주변 경관과 일치 유도

 

 

 


⑤ 에스테장(Villa d'Este)-티볼리
• 리고리오가 설계한 전형적인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
• 수경은 올리비에리의 설계로 풍부한 물의 다양하고 기묘한 수경처리가 매우 뛰어남
• 하부에서 상부까지 명확한 중 심축 사용
• 4개의 테라스
a. 제1노단 : 분수와 공지,화단
b. 제2노단:감탕나무 총림, 용의 분수
c. 제3노단 : 티볼리 분수,100개의 분수,로메타 분수,
d. 제4노단: 흰 대리석 카지노        

⑥ 랑테장 (Villa Lante)
• © 비놀라의 설계로 이탈리아 정원의 3대원칙인 총림,테라스, 화단의 조화로운 배치
• © 정원축과 수경축이 완전한 일치를 이루는 배치로 수경축이 정원의 중심요소
• ©4개의 테라스가 돌계단으로 연결됨
a. 제1노단: 둥근 섬이 있는 거대한 정방형 연못,십자형 다리,'몬탈 토분수’
b. 제2노단 : 빛의 분수,플라타너스 군식
c. 제3노단:추기경의 테이블,거인의 분수,인공폭포
d. 제4노단: 캐스케이드,돌고래 분수
제1노단과 제2노단 사이에 두 채의 카지노 설치

⑦ 포포로 광장(Piazza del Popolo)
• 광장의 중심에 16C말에 세운 오벨리스크가 위치
• 네 귀퉁이에는 19C초에 세운 좌사자상(座獨子像)이 있는 장타원형 광장
• 

(5) 후기(17C)-매너리즘과 바로크 양식의 대두
1) 특징
① 건축적으로 바로크 양식은 발전하였으나 정원은 일반적인 르네상스 양식 사용
② 건축적 양식의 변화에 비해 정원의 변화는 늦게 나타남
③ 균제미의 이탈,지나치게 복잡한 곡선의 장식과 화려한 세부 기교에 치중-미켈란젤로에 의해 시작
④ 정원동굴,물을 즐겨 사용하며 기교적으로 취급-물 극장,물 풍금, 경악분천,비밀분천 등
⑤ 토피어리의 난용,미원은 더욱 복잡해지고 과도한 식물사용과 다양한 색채를 대량으로 사용
⑥ 화단,커낼,분천 등 모두 직선 보다는 곡선을 많이 사용

2) 조경
① 감베라이아장(Villa Gamberaia)
•  매너리즘 양식의 대표적 빌라
•  주건물이 정원의 중앙에 놓이며 전체적으로는 엄격하리만큼 단순하 게 처리
•  동굴정원,물의 정원,레몬원,사이프러스원,총림,난간이 달린 전 망대 등이 잔디를 깐 산책로를 중심으로 배치
② 알도브란디 니 장(Villa Aldobrandini)
• 지아코모 델라 포르타가 설계한 바로크 양식
• 2개의 노단과 노단 중간에 건물 위치
• 배모양의 분수가 있고,중심 시설인 물극장 유명
• 정원 뒷산의 저수지를 이용하여 자연형 폭포, 연못, 캐스케이드로 정원장식
③ 이졸라 벨라장(Villa Isola Bella)
•  마지오레호수의 섬 전체를 정원화한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정원
•  섬 전체가 바빌론의 공중정원과 같이 물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임
•  10개의 테라스로 되어 있고,각 노단은 화려하게 장식
• 최상단에는 바로크 특징이 강한 물극장 배치 
④ 가르조니장(Villa Garzoni)
• 건물과 정원이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노단으로 구성된 빌라
• 정원은 기술적,미적인 면에서 단연 뛰어나 바로크 양식의 최고봉이 라일컬음
• 상부 테라스는 그늘진 총림,하부 테라스는 밝고 화려한 파르테르(Parterre)와 원형 연못으로 구성 
⑤ 란셀로티장(Villa Lancellotti): 바로크 양식 의 빌라